在濟州空難中失去家人的狗狗布丁(預計2歲)被新家庭擁抱。距離他被動物權利組織「關懷」救援已經過了大約一個半月的時間。 13日,Edaily帶著65名收養申請者首先來到了位於京畿道河南市的布丁和她的新家人見面的地點。透過他們,我們聽到了各種各樣的信息,包括布丁的收養者選擇過程和新家庭的故事。
去年12月29日,在務安國際機場跑道上發生的濟州航空空難中,布丁是一隻狗,它失去了9名家人。兩天后,即31日,護理活動人士看到布丁四處遊蕩等待家人,開始營救她,並與死者家屬協商後暫時保護她。當天,作為臨時監護人的關懷積極分子楊智慧親自將布丁帶到了新家。
「今天,當我把布丁帶出來時,和我住在一起的侄子哭了很多次。我認為在我們一起度過了這麼多時間之後,很難放手。其實我並不難過。收養地點很快就確定了,布丁很快就能見到她的新家人了。 “我很高興布丁和家裡的其他狗相處得很好,而且他的社交似乎比剛開始時更穩定。”
兩位積極分子也向布丁的新家庭成員尹正恩和李世宗以及他們的孩子李仔細解釋了布丁的生活習慣和性格。雖然個性有些瀟灑,但有時也會很可愛,喜歡吃零食和散步,擅長跳躍。新家人一邊聽著兩位活動人士的話,一邊不停地撫摸著布丁的頭,或是用溫暖的眼神看著她。
「當我聽到災難的消息後心碎時,我偶然看到了布丁的故事。雖然我們是個喜愛寵物的家庭,但自從大約4年前放棄Petit(當時18歲)以來,我們一直沒能鼓起勇氣帶一個新孩子。但當我看到布丁的照片的那一刻,我覺得我們有連結。退休的父母和可以靈活度過時間的我能夠專注於布丁。 “我認為我們能夠從布丁那裡給予和接受同樣多的快樂,就像我們給予和接受佩蒂特很多愛一樣多。”
完成搜索後,布丁在桌子底下躲了一會兒,很快就跟著他的新家人四處走動。吃著家人提供的零食,喝著客廳裡的水,他似乎已經開始習慣了。他閉上眼睛很長一段時間,當楊先生和世宗先生撫摸他時,他又睜開眼睛,甚至當他的孩子李先生叫他時,他也轉過頭來盯著他。
「事實上,我認為佩蒂特在穿過彩虹橋後很長一段時間都患有『寵物丟失綜合症』。儘管我在和家人一起守護並照顧他之後離開了佩蒂特,但我每天晚上都會哭。我為自己沒能做得更好而感到遺憾。所以,在女兒遞交收養申請之前我就想好了,在大家都同意後,我們決定迎接她的新家庭。是因為我準備好給予更多的愛嗎? “提交申請後,我們隱約感覺布丁會來找我們。”
在布丁遇見新家庭之前經歷了幾個過程,包括Care仔細的文件審查、八次收養者選擇會議以及對三個最終候選家庭的現場考察。幾天來,我們不斷思考對狗的理解程度、初級守護者的數量,以及最終「布丁能生活在最幸福的環境」。
參與收養者篩選過程的關懷活動家 Eunyoung Lee 解釋說:“我們討論了布丁最穩定的生活環境。除了滿足所有標準外,家庭對布丁的考慮也是選擇的決定性因素。”
事實上,一家人對布丁的熱愛在整個房子裡隨處可見。所有大理石覆蓋的空間,從鞋櫃到客廳地板,都鋪上了防滑墊,沙發上還放置了坐墊和胡蘿蔔娃娃。陽光明媚的客廳裡,擺著厚厚的墊子和玩具,另一邊則是食物和水碗。這是家人在等待布丁被收養時準備的。
「大理石地板不適合狗狗,所以當我聽說布丁被領養時,我先在地板上鋪了一個墊子。原本還擔心布丁能否很好地適應新的環境,但今天看到布丁發揮出色,我就放心了。對布丁,我想說:“你的家人會給你很多愛,所以我希望你能好好相處,不用擔心。”或許忘記原生家庭並不容易,但我只是希望你能在家裡幸福地生活。
제주항공 참사로 가족을 잃은 반려견 ‘푸딩’(2살 추정)이 새 가족의 품에 안겼다. 동물권단체 ‘케어’에 의해 구조된 지 한 달 반여 만이다. 입양 신청자만 65명이 모였던 가운데 지난 13일 경기 하남 모처에서 푸딩과 새 가족이 만나는 현장을 이데일리가 먼저 찾아가 봤다. 이들을 통해 푸딩의 입양자 선정 과정과 새 가족의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을 들어볼 수 있었다.
푸딩은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참사로 일가족 9명을 잃은 반려견이다. 가족을 기다리며 떠도는 푸딩의 모습을 접한 케어 활동가들이 이틀 뒤인 31일부터 구조를 시작했고 유족 등과의 협의를 거쳐 임시로 보호해왔다. 임시 보호자였던 양지혜 케어 활동가는 이날 푸딩을 새 가족의 자택으로 직접 데려오기도 했다.
“오늘 푸딩이를 데리고 나오는데 함께 집에서 사는 조카가 엄청 울더라고요. 그간 같이 보낸 시간이 있다 보니 정 떼는 게 힘들었던 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슬프지는 않습니다. 입양처가 신속하게 정해진 만큼 푸딩도 새 가족을 빠르게 만날 수 있는 거니까요. 푸딩이가 제 집에서 다른 반려견들과도 잘 지내면서 처음보다 사회화가 안정적으로 된 것 같아 다행일 따름입니다.”
양 활동가는 푸딩의 새 가족이 된 윤정은씨와 이세종씨, 두 사람의 자녀인 이모씨에게 푸딩의 생활 습관과 성격에 대해서도 살뜰히 설명했다. 성격은 다소 시크하지만 애교를 부릴 때도 있으며 간식과 산책을 좋아하고 점프를 잘한다는 등 내용이었다. 새 가족들은 양 활동가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서도 푸딩의 머리를 쓰다듬거나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참사 소식을 듣고 마음 아파하던 중 우연히 푸딩이 사연을 접했습니다. 워낙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가족이지만 4년여 전 쁘띠(당시 18살)를 보낸 뒤로 새 아이를 데려오는 것은 용기를 못 내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푸딩이 사진을 본 순간 마음이 통한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고요. 은퇴하신 부모님이나 시간을 유동적으로 쓸 수 있는 제가 푸딩이에게 집중할 여건이 되기도 했고요. 쁘띠에게 많은 사랑을 주고받았던 만큼 푸딩에게도 큰 기쁨을 주고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탐색을 마친 푸딩은 잠시 책상 아래에 몸을 숨겼다가 곧 새 가족들을 따라다녔다. 가족들이 주는 간식을 먹고는 거실에 있는 물을 마시며 적응을 시작한 모습이었다. 양씨와 세종씨가 쓰다듬는 손길에는 눈을 길게 감았다가 떴으며 자녀 이씨가 자신을 부르는 소리에는 고개를 돌리고 빤히 쳐다보기도 했다.
“사실 쁘띠가 무지개다리를 건넌 뒤로 ‘펫로스 증후군’을 오래 앓았던 것 같아요. 가족들과 불침번을 서며 쁘띠를 돌보다가 떠나 보낸 거지만 밤마다 눈물이 나더라고요. 더 잘해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었죠. 그래서 딸 아이가 입양 신청서를 넣기 전까지도 고민했고 모두의 동의를 거쳐 새 가족들 맞이하기로 한 거예요. 더 많은 사랑을 줄 준비가 돼 있어서일까요. 신청서를 낸 뒤에는 푸딩이 우리에게 올 것만 같은 느낌이 막연히 들기도 했습니다.”
푸딩이 새 가족을 만나기까지는 케어 측의 꼼꼼한 서류 검토와 8회에 걸친 입양자 선정 회의, 최종 후보자 3인 가정에 대한 현장 실사 등 여러 과정이 존재했다. 반려견에 대한 이해도와 주보호자 수를 비롯해 궁극적으로 ‘푸딩이 가장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고민을 며칠간 이어갔단다.
입양자 심사 작업에 참여한 이은영 케어 활동가는 “푸딩의 입장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일지 논의했다”며 “모든 기준이 충족된 것과 더불어 가족분들이 푸딩을 배려하는 모습이 결정적인 선정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가족들이 푸딩을 위하는 마음은 집 곳곳에 드러나 있었다. 신발장부터 거실 바닥까지 대리석이 깔린 모든 공간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가 깔려 있었으며 소파 위에는 방석과 당근 인형이 놓여 있었다. 햇살이 들어오는 거실에는 두툼한 크기의 방석과 장난감이, 또 다른 쪽에는 사료·물그릇이 자리해 있었다. 푸딩의 입양을 기다리며 가족들이 준비해둔 것이었다.
“반려견들에게 대리석 바닥이 좋지 않다 보니 푸딩이 입양 확정 소식을 듣고 바닥에 매트부터 깔았어요. 새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걱정도 됐는데 오늘 푸딩이가 잘 노는 모습을 보니 안심이 되네요. 푸딩에게는 ‘가족들이 사랑 많이 줄 테니 걱정 없이 잘 지내길 바라’라고 말하고 싶어요. 원래의 가족을 잊는 게 쉽지는 않겠지만 우리 집에서 행복하게 잘 지냈으면 하는 마음뿐입니다.”
原文出處 edaily